본문 바로가기

팁/재테크 정보

[부동산]전세끼고 아파트 매매 시 고려해야 할 점 3가지 정리해봤어요.

반응형

전세끼고 아파트 매매 시 고려해야 할 점 3가지 정리해봤어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세끼고 아파트 매매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도 2년 전에 매매한 집 생각이 나는데요. 저는 이런 걱정 때문에 아예 매도인분께서 세입자로 내려앉는 경우의 집을 구입했습니다. 그래도 앞으로 차차 전세입자를 구하는 경험을 하게 될 테고 해서 강의듣고 정리해보았고, 정리하면서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세세한 팁이라 정리해보았습니다. (직접 경험하셨기에 이런 꼼꼼한 팁을 말씀해주실 수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유튜브 3040재테크, 세빛희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것이예요.

 

https://youtu.be/4a123DSYTFY

 

1) 가장 중요한 것은 잔금일을 가장 길게 잡는 것입니다.

이건 가장 중요한 것인데요. 가계약금을 부치기 전에 협의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잔금일이 가장 중요합니다. 잔금 협의를 보지 않으면 보통 관습대로 2-3달정도로 짧게 하는데, 전세끼고 매매하려면 전세금을 받아서 집주인에게 잔금을 줘야하잖아요. (처음 전세끼고 매매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 이 부분을 놓칠 수 있습니다.) 잔금일까지 전세가 안 나가면 본인이 대출을 일으켜서 잔금을 내야 합니다. 그래서 전세끼고 매매할 시에는 잔금일을 최대한 길게 해달라고 소장님께 부탁해야 합니다. 이것은 계약금 부친 후 이야기하면 협의가 잘 안될 수 있으니 가계약금 부치기 전에 잔금일 협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잔금일 길게 할 때는 특약사항에 만약에 잔금일 전에 전세가 맞춰지면 매도자와 협의해서 이삿날을 좀 더 당길 수 있다라는 경우를 작성해주시면 좋습니다. 

 

 

2) 전세매물을 다른 부동산에도 내놓겠다고 말씀하여야 합니다. 소장님께 계약 전에 전세매물을 풀겠다고 해야합니다. 이것도 가계약금 부치기 전에 소장님께 본인의 자금여력을 말씀 드리면서 전세입자를 꼭 구해야하기 때문에 전세매물을 다른 부동산에도 내놓아야 된다고 말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미리 대출을 알아봐야 한다. 우리가 전세를 잔금일까지 맞추면 가장 좋지만, 만약 잔금일까지 전세 못 맞출 수 있으니 미리 대출이 얼마까지 가능한 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따로 은행 방문 할 필요 없이(저 같은 경우는 주거래은행 대출상담사를 직접 만나긴 했습니다) 대출상담사 이용하면 됩니다. 대출상담사는 보통 소장님께 소개받으시면 되시고요. 1,2금융권 대출상담사 유선으로 연락해서 상담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좋은 팁은?  2금융권 같은 경우는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대출시행일로부터 3년 안에 대출을 갚으면 중도상환수수료를 물게 되는데, 해당  대출은 일시적으로 전세 못 맞춰 잔금 치기 위해 대출 받는 것이니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대출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이상 전세끼고 매매할 시 고려해야 할 점 3가지 정리해보았습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투자는 모두 개인의 판단으로 시행하여야 합니다. 말그대로 저축이 아닌 투자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