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끼고 아파트 매매 시 고려해야 할 점 3가지 정리해봤어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세끼고 아파트 매매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도 2년 전에 매매한 집 생각이 나는데요. 저는 이런 걱정 때문에 아예 매도인분께서 세입자로 내려앉는 경우의 집을 구입했습니다. 그래도 앞으로 차차 전세입자를 구하는 경험을 하게 될 테고 해서 강의듣고 정리해보았고, 정리하면서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세세한 팁이라 정리해보았습니다. (직접 경험하셨기에 이런 꼼꼼한 팁을 말씀해주실 수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유튜브 3040재테크, 세빛희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것이예요.
1) 가장 중요한 것은 잔금일을 가장 길게 잡는 것입니다.
이건 가장 중요한 것인데요. 가계약금을 부치기 전에 협의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잔금일이 가장 중요합니다. 잔금 협의를 보지 않으면 보통 관습대로 2-3달정도로 짧게 하는데, 전세끼고 매매하려면 전세금을 받아서 집주인에게 잔금을 줘야하잖아요. (처음 전세끼고 매매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 이 부분을 놓칠 수 있습니다.) 잔금일까지 전세가 안 나가면 본인이 대출을 일으켜서 잔금을 내야 합니다. 그래서 전세끼고 매매할 시에는 잔금일을 최대한 길게 해달라고 소장님께 부탁해야 합니다. 이것은 계약금 부친 후 이야기하면 협의가 잘 안될 수 있으니 가계약금 부치기 전에 잔금일 협의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잔금일 길게 할 때는 특약사항에 만약에 잔금일 전에 전세가 맞춰지면 매도자와 협의해서 이삿날을 좀 더 당길 수 있다라는 경우를 작성해주시면 좋습니다.
2) 전세매물을 다른 부동산에도 내놓겠다고 말씀하여야 합니다. 소장님께 계약 전에 전세매물을 풀겠다고 해야합니다. 이것도 가계약금 부치기 전에 소장님께 본인의 자금여력을 말씀 드리면서 전세입자를 꼭 구해야하기 때문에 전세매물을 다른 부동산에도 내놓아야 된다고 말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미리 대출을 알아봐야 한다. 우리가 전세를 잔금일까지 맞추면 가장 좋지만, 만약 잔금일까지 전세 못 맞출 수 있으니 미리 대출이 얼마까지 가능한 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은 따로 은행 방문 할 필요 없이(저 같은 경우는 주거래은행 대출상담사를 직접 만나긴 했습니다) 대출상담사 이용하면 됩니다. 대출상담사는 보통 소장님께 소개받으시면 되시고요. 1,2금융권 대출상담사 유선으로 연락해서 상담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좋은 팁은? 2금융권 같은 경우는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대출시행일로부터 3년 안에 대출을 갚으면 중도상환수수료를 물게 되는데, 해당 대출은 일시적으로 전세 못 맞춰 잔금 치기 위해 대출 받는 것이니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대출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이상 전세끼고 매매할 시 고려해야 할 점 3가지 정리해보았습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투자는 모두 개인의 판단으로 시행하여야 합니다. 말그대로 저축이 아닌 투자니까요.
'팁 >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전세재계약 진행 후기예요!_임대인 입장에서 전세재계약 진행 시 주의해야 할 점 알아보자_계약갱신청구권 사용 특약사항에 필수작성 (0) | 2021.12.08 |
---|---|
[미국주식] PER 를 알아보자_ 구글,애플,테슬라,엔비디아,자일링스 등 (0) | 2021.12.08 |
[미국주식]미국주식 양도세 절세 꿀팁 정보 알려드려요_미주부 유튜브 후기! (0) | 2021.12.01 |
퇴직연금운용_삼성증권으로 선택했어요_DC퇴직연금으로_ETF구입( KODEX 미국 FANG 플러스, TIGER 미국 S&P 500)후기예요!_DC형,DB형,IRP란? 구별하고 어떤것이 좋을지 고민해보기! (0) | 2021.11.30 |
[부동산] 계약갱신청구권 거부 관련 내용증명서_실거주 목적 (0) | 202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