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리플(ripple)에 대해서 알아봤어요/요즘 핫한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무엇이고, 뭐가다를까 ]
안녕하세요. 가상화폐(앞으로 그냥 대표적인 화폐인 비트코인이라고 할게요) 비트코인 관련 글 두 번째로는 리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해요.
사실 비트코인으로 유명한건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가격대도 비트코인 다음이고요)인데요. 리플이 최근 제가 거래하는 코인원에 상장해서 리플 먼저 알아보려고요.
리플 (XRP) 이란? 해외송금에 특화 된 가상화폐
리플은 금융 거래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인 '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어지는 디지털 자산이자 기초화폐를 뜻합니다. 이 토큰을 매개로 전 세계 어디든지 각 나라의 화폐를 단 몇 초 내로 송금할 수 있어 혁신적인 실시간 통화 거래가 가능합니다. (해외송금에 특화된 가상화폐라고 요약할 수 있어요.)
리플 프로토콜은 무엇인지?
리플 프로토콜은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총액결제 시스템 (RTS)'으로 국제결제시스템망(SWITF)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답니다. 한 해 전 세계 전자 결제 규모는 약 5천억건에 달하는데 이 결제를 처리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수백억원의 비용이 듭니다. 리플 프로토콜은 P2P 개념을 환전 거래에 접목시켜서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P2P네트워크는 서로 모르는 사람 혹은 은행 간의 외환 거래를 중개하는 다리를 만듭니다. 따라서 SWIFT와 같은 중개기관이 필요하지 않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국제 결제 서비스를 가능케 합니다.
리플의 효과 ?
결제 비용 감소 : 중개기관을 거치치 않기 때문에 수수료 절약 가능
실시간 결제 : 전 세계 어디든 트랜잭션 당 3.5초가 걸리며 즉각적 정산이 가능
리플의 역할?
리플(XRP)은 리플프로토콜에서 ' 연결통화 (Bridge currency)의 역할을 합니다.
기존 통화시장에서는 수요가 적은 희귀통화를 거래하기가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예를 들어 원화(KRW)를 동아프리카 짐비아에서 사용되는 콰차(ZMK)로 바꾸기 위해서는 중간에 수많은 외환 중개업체를 거쳐야 했습니다. 즉 적은 유동성과 다수 중개자가 개입하는 통화는 경쟁력있는 환율을 제공하기 어렵게 만드는데, 반편 리플 프로토콜은 전 세계 어떤 통화도 리플(XRP)로 직접 연결 될 수가 있습니다. 오늘날 외환시장에서 달러가 하는 역할과 유사합니다. 리플은 적은 수의 통화 쌍에 유동성을 집중시켜 경쟁력 있는 환율을 확보할 수 있게 합니다. 한편 리플은 달러거래와 달리 은행계좌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수수료나 추가 운용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리플을 통하면 기존 환율보다 훨씬 경쟁력 있는 외환 가격을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리플의 특징?
초기 1천억개 발행 : 리플의 가장 큰 특징은 인플레가 없다는 것입니다. 비트코인처럼 시간이 지날 수록 화폐 총량이 늘어나는 대부분 가상화폐와 달리, 리플은 초기 1천억개가 발행 되어 더 이상 추가 발행되지 않습니다.
트랜잭션당 0.00001 XRP수수료 지불 : 리플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스팸공격을 막기 위해 거래시마다 0.00001 XRP가 수수료로 차감이 됩니다. 이 수수료는 영원히 소멸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토큰수량이 매우 느린 속도로 줄어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가치 상승 : 현재 리플 네트워크에는 전 세계 주요 금융권 75개가 참여하고 있으며, 매년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리플 네트워크가 널리 보급될 수록 수수료 소멸 속도가 가팔라지고 토큰이 희소해지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리플의 분배와 유통구조 ?
리플은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중앙집중화된 발행, 유통구조를 가진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대부분 암호화페는 채굴의 과정을 통해 신규 코인을 발행하고, 채굴자들이 이를 유통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반면 리플의 경우, 초기 1천억개로 발행 된 코인의 공급과 유통을 개발사인 ' 리플'이 관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리플사는 총 량의 62%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 개발 단계에 따라 전략적으로 시장에 유통중입니다. 리플사는 유동성 공급자들의 인센티브로 리플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기관투자자 들에게 리플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코인을 제한적으로 유통하고 있습니다. 리플사에 따르면 , 2021년 까지 본사가 약 50%를 보유할 계획을 밝혔으나, 리플사의 재량과 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겠지요.
리플의 개발사 리플(Ripple)은 어떤 곳일까?
구글 벤처스가 투자하고 전세계 주요 은행들이 앞다퉈 제휴하는 촉망받는 기업
리플은 2012년 IT금융계의 거물급인 크리스라센과 제드맥칼레브가 설립한 기업이고, 현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실리콘 밸리와 월스트리스 출신의 보안전문가, 암호전문가 등 150여명의 직원을 두고 있습니다.
구글벤처스, 액센추어, SBI홀딩즈, IDG캐피털 파트너스 등 27개의 투자사로부터 총 7번에 걸쳐 $93.6M를 투자 받았으며, 리플 네트웍에 참여하는 금융기관은 현재 총 75개로 올해 3월 전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은행인 미츠비시도쿄 UFJ 은행(MUFG)을 포함해 일본의 47개 은행과 파트너쉽을 체결하였고, 리플 네트웍 확장은 전 세계 유저들의 리플 환금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 됩니다.
THE END
'팁 >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라펀딩/ 제 87차 상환 지연 건 상환 완료!!] (0) | 2017.06.09 |
---|---|
[비트코인 수익률 7년 수익률 7480% 사상 최고치 / 17.05.22 신문기사 스크랩 ] (0) | 2017.05.25 |
[ 1. 비트코인(bitcoin)에 대해/요즘 핫한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무엇이고, 뭐가다를까] (0) | 2017.05.25 |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거래 사이트 코인원(Coinone)에서 거래후기] (0) | 2017.05.25 |
[테라펀딩/ 제 87차 상환 지연 예정 안내 메일 왔어요] (0) | 2017.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