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요즘은 네이버 블로그에 있는 글을 옮기는 작업만 하고 있는데,
이번 글은 티스토리 실제 첫 포스팅이 될 것 같아요. ;)
결혼 후 남편의 보험이 제대로 된게 없어서 보험에 대해 최근 알아보고자 하거든요.
(우체국보험 월 3만원 납부만 하고 있었네요.. 허리가 최근에 아파서 병원가서 진단 받고 주사도 맞았는데 보험적용도 하나도 안되는걸 보고 이참에 보험을 알아보는데 무작정 보험직원에게 연락하긴 마음이 안가서, 찬찬히 읽어보려고요. 처음 읽는 책이었는데 초보자가 읽기에도 좋고 꽤 신경쓴 책인 것 같아요.
내용을 같이 공유하고자 해요. )
처음으로 집어 든 책은 , 아래의 책입니다.
저자는 보험업계에 30년 가까이 종사해 온 분이라고 하기에 믿고 읽어보기로 했어요.
지은이의 말에는
[결론적으로 보험은 무조건 일찍,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기 보다는 , 적당한 시기에 적당한 크기의 보장내용으로 가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하네요. (조급한 마음을 조금은 버려도 될 것 같아요 )
[또한 보험에 가입하고 중도에 해지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그 이유는 적어도 1-2년 치의 보험료를 왕창 날리는 셈이기 때문이예요.
그래서 만약 부득이하게 위험보장을 받아야 하는 경우 + 보험 계약 해지의 가능성이 있다면 = 적립 보험료가 전혀 없거나 아주 최소화한 소멸성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게 이득이예요.
그리고 보험금을 받는 일에 있어서도,
[전문가의 말이라고 곧이곧대로 믿지말고, 보험금 청구에 있어서 한 번쯤 다시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
일반사람들이 보험금 청구 대상인지조차, 잘 알지 못해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보험설계사 또는 보험회사 고객 센터의 직원 또는 친 인척이 보상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는 이유를 그대로 듣고 말하는 분이 의외로 많이 있는데,
보험은 대체로 복잡하고 특히 보험금 지급 여부는 고도의 전문영역이라 전문가 조차 자칫하면 전문가조차 자칫하면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여러가지 내용을 면밀히 확인한 후 겨우 답을 얻는 경우가 허다하대요. 때문에, 본인이 보험금 청구에 있어서는 꼭 다시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 거예요.
이번 포스팅은 결론으로 다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결론적으로 보험은 무조건 일찍,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기 보다는 , 적당한 시기에 적당한 크기의 보장내용으로 가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당한 시기가 언제인지? 계속 되는 포스팅에서 정리해드릴게요.)
2. 또한 보험에 가입하고 중도에 해지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뒤집어 말하면 중도해지할 가능성이 있는 보험은 쉽게 가입지 마세요)
3. 보험금 청구시 꼭 본인이 다시 한 번 확인해라.


The end.
'팁 > 정 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월 20일 장애인의 날/ 편견없는 조화로운 세상이 오는 그 날까지] (0) | 2017.04.20 |
---|---|
[박한석 대표 저자 인터뷰/ 구글링] (0) | 2017.02.14 |
[보험 해지/감액/중도인출/갈아타기는 하지말자!] (0) | 2017.02.13 |
[보험은 고가의 상품 구입계약임을 명심해요.] (0) | 2017.02.10 |
중도에 해지할 보험이면 애당초 가입하지 마세요. (0) | 2017.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