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방송통신대

[2017년 1학기_컴퓨터의이해_중간과제물_1번]

반응형

1. 아래의 문제에 대하여 교재에서 관련내용을 확인한 후 인터넷이나 참고문헌을 참조하여 A4 용지 2페이지 내외로 서술하라. (15)

(1) 컴퓨터에서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2) 최신 스마트 폰 하나를 선정하고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1편에 이어서 작성합니다.

 

[프린터]

인쇄물 출력을 위한 대표적인 출력장치는 프린터이다. 과거의 프린터들은 보통 컴퓨터 시스템에서 가능한 빨리 인쇄하려는 대형장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프린터으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프린터는 글자 인쇄를 할 때 충격인쇄와 비충격인쇄 두 가지 방법 중의 하나를 이용하는데, 인쇄방법의 선택은 요구되는 인쇄의 질, 필요한 속도, 가격 등의 요소와 직접 관련된다. 초기에는 충격인쇄 방식이었는데 출력물의 품질이 낮고, 소음이 커서 최근에는 대부분 비충격인쇄방식의 프린터로 대체되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비충격 인쇄방식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토너를 전사하는 방식(레이저 프린터), 액체 잉크를 분사하는 방식(잉크젯 프린터), 열 전사 방식(감열식 프린터) 등을 활용하여 인쇄한다.

[플로터]

플로터는 선 그리기 형태의 벡터 그래픽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이다. 펜플로터는 다양한 색의 펜과 원통 또는 평면 종이판을 사용한다. 원통형은 좌우 방향의 움직임은 펜을 이동하여,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원통을 회전함으로써 종이를 움직여 만들어 낸다. 특히 큰 출력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플로터에 이러한 방식이 사용된다. 평면 종이판을 사용하는 플로터는 종이는 움직이지 않고 x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동장치에 펜을 연결함으로써 펜이 움직이면서 그림을 그린다.

[비디오 프로젝터]

스크린에 슬라이드나 동영상과 같은 영상 출력을 투사하는 출력장치이다. 액정 프로젝터는 할로겐 램프의 빛을 영상의 빨강,초록,파랑 색성분에 해당되는 3장의 LCD 패널을 통과하여 투사한다. LCD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어 회의실, 강의용, 홈시어터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두 눈에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3차원 입체 장면으로 가상현실 환경을 보여 주거나 실세계의 시야에 컴퓨터가 생성한 정보를 겹쳐서 보여준다. 초기에는 크기가 무거워 착용하기에 불편했으나 최근에 크기가 소형화되어 실용성을 향상시켰다.

[3차원 프린터]

3차원 프린터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한 3차원 입체모델을 실제 물체로 제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작업은 절삭형과 적층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절삭형은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깎아 원하는 물체를 만드는 방식이다. 절삭형은 적층형에 비해 더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안쪽이 파인 모양을 제작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적층형은 석고나 나일론 등의 가루나 플라스틱 액체나 플라싁 실과 같은 재료를 미세한 단위로 한 층씩 쌓아 올려 원하는 물체를 만드는 방식이다. 매우 다양한 형태를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제품 제작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3D프린터를 이용한 제작과정은 모델링, 프린팅, 마무리의 세 단계로 진행된다. 모델링 단계에서는 CAD3차원 스캐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물체를 설계한 다음, 이를 인쇄 소프트웨어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다. 프린팅 단계에서는 모델링된 물체를 3D프린터로 제작한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미세하지만 층을 이루어 제작되어 거친 표면이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제작된 물체를 연마하여 매끄럽게 가공하고, 도색, 조립 등의 과정을 거쳐 제품을 완성한다.

 

기억장치란?

비슷한 말로 저장장치라고도 하는데 이 때는 대체적으로 비휘발성의 기억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의 기억장치는 주기억 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나눌 수 있다. (메모리는 종종 기억장치'라는 용어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대체로는 주기억장치를 말하며 특히 램(RAM)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주기억장치 또는 컴퓨터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 되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를 가리킨다. 또 주기억장치 말고 보조기억장치가 있는데, 컴퓨터에서 보조기억장치가 필요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첫 번째로는 매우 큰 용량의 기억장치가 필요한데, 보조기억장치 없이는 너무 큰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필요하다. 반도체 기술 발전으로 인해 매년 주기억장치의 용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응용 프로그램 역시 보다 풍부한 콘텐츠를 활용하도록 발전하면서 필요한 용량 역시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주기억장치를 보조할 별도의 보조기억장치가 필요하다. 두 번 째는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주기억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RAM은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만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전원공급 없어도 장기간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보관가능하다. 버퍼캐시,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등 의 보조기억장치는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주므로 컴퓨터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조사할 때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중요사항이 있다. 첫 번째 고려사항은 저장되는 매체의 형태이고, 두 번째 고려사항은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가 구성되고 액세스되는 방법이다. 데이터가 저장되는 매체는 크게 구분하여 자기테이프 종류와 같이 순차적으로 접근하여 저장할 수 있는 매체와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직접적 혹은 임의적으로 접근하여 저장할 수 있는 매체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테이프란 매체의 종류는 릴테이프, 카트릴지테이프등이 있으며 바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순차적 저장 및 검색을 하는 것이 특성이다. 자기디스크는 예전에(20여년 전에) 자주 쓰던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와 같은 종류등이 있겠고 임의적 혹은 순차적 저장과 검색이 특성이다. 광디스크는 CD-ROM, CD-R, CD-W, DVD, 블루레이 등의 종류가 있고 광학적 기록 및 판독이 그 특성이다. 기타 매체로는 플래시메모리, SSD 등이 있고,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란 특성이 있다.

 

1.(2)

 

최신 스마트 폰 하나를 선정하고 입력장치, 중앙처리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선정한 스마트폰 : [아이폰SE]

(아래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로즈골드 색상의 뒷 모습이다.)

 

 

입력장치 :

-4형 대각선 LED백라이트 와이드스크린 Multi-Touch 디스플레이로 화면에 터치하여 내용을 입력받는다. 여러 언어 및 문자 동시 표시 지원이 가능하다.

- 카메라로 사진을 입력 받는다. 카메라만 기기 모양에 튀어나와 있지 않고 평면형으로 내장 되어 있다. 1200만화소 iSight 카메라로 Live Photos, Focus Pixels를 갖춘 오토포커스기능이 가능하고, True Tone플래시, 파노라마(최대 6300만화소), 사진을 위한 자동 HDR기능, 노출 조절, 고속 연사모드, 타이머 모드, 5매 렌즈, 하이브리드 IR필터, 후명 조명 센서, 사파이어 크리스털 렌즈커버, 자동 흔들림 보정, 향상된 주변 색조 매핑, 향상된 노이즈 감소, 얼굴 인식, 사진 위치 표시 기능 등의 다양한 카메라 기능이 있다.

-카메라로 영상을 입력 받는다. 4K 동영상 촬영(38402160, 초당 30 프레임), 1080p HD 동영상 촬영(초당 30프레임), True Tone 플래시, 슬로 모션 동영상 지원, 타임랩스 동영상(동영상 흔들림 보정 포함), 시네마틱 동영상 흔들림 보정, 연속 오토포커스 동영상, 향상된 노이즈 감소, 4K 동영상 촬영 중 8백만 화소 사진 촬영, 재생 중 줌 가능, 3배 줌 가능, 얼굴 인식, 동영상 위치 표시 기능이 있다.

 

 

 

 

 

-Touch ID 센서: 위의 외부인터페이스 모양 그림 중 유일한 동그란 버튼부분인 Touch ID센서 부분으로 지문을 입력받아 보안을 풀고, 실행 되는 앱의 종료신호를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받는다.

 

 

 

-아래 마이크로 음성을 입력 받는다통화시간은 3G에서 최대 14시간입니다. Lightning 커넥터로 외부 컴퓨터와 연결해 사진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 , 기억장치 :

 

- [중앙처리장치] A9(64비트 아키텍쳐), M9 모션 보조 프로세서 내장 : [같은 얼굴, 다른 심장] 이것을 아이폰 SE의 모토로 축약할 수 있다. 생김새는 아이폰 5s와 같지만 내부는 A9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어서 예전 모델인 아이폰 5s보다 연산처리 능력이 빠르고, 배터리도 더욱 절약 가능하다. A9프로세서를 통해 아이폰 SE는 아이폰 6S와 동일한 프로세서를 갖추게 되어 아이폰 5s대비 2배 빨라진 프로세서 처리속도와 3배 향상된 그래픽 처리 속도를 갖추게 되었다. 애플은 램 용량을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아이폰 6s와 동일한 2GB를 내장하고 있다. 운영체제는 ios 9.3을 사용하고 있다. (ios의 주요기능으로는 멀티터치와 빠른속도, 앱스토어란 100만개 이상의 모바일 앱을 위한 플랫폼 사용가능하다. 이것은 애플 통제 하에 운영 되어 악성코드, 바이러스, 해킹 방지가 가능하다. Siri라는 음성인식 서비스가 가능하며, iCloud라는 곳에 사용자의 모든 문서를 저장하고 다른 애플 제품에서 호환이 가능토록 한다.)

 

-[기억장치] 대신 아이폰 6s보다 낮은 사양은 저장 공간이 아이폰 6s는 최대 128GB를 선택할 수 있지만 아이폰 SE64GB까지만 출시되어 있다. (제가 갖고 있는 핸드폰도 저장 공간이 64GB이.)

 

출력장치 :

 

 

-위의 사진과 같이 해당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출력한다. Retina 디스플레이로 4형 대각선 LED백라이트 와이드스크린이며, 1136 *640 픽셀 해상도이다. 800:1의 명암비이고, 500 cd/m2 최대 밝기이다. SRGB 표준이다.

-오른쪽에 빨간 사각형 테두리 부분에서 통화 시 음향이 출력된다.

 

 

-그리고 위의 헤드폰 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이어폰으로도 음향 출력이 가능하며, 내장스피커에서도 음향 출력도 가능하다.

 

기본 스펙을 요약해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다.

 

 

반응형